안녕하세요.
하고싶은게 비행✈ 인 사람입니다.
첫 포스팅은 인간행동과 효과적인 대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저는 전문 교육인이 아닙니다.
혹시 이에 관련해서 종사하시는 분들이 제 글을 읽고 잘못된 점이 있다면
지적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배우고 싶습니다.
Task A : Human behavior and effective communication
- Definition of human behavior
- Human needs
- Motivation
- Defense Mechanism
- Student Emotional Reactions
- Basic Elements of Communication
- Barriers to effective communication
-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로 구성 될 거에요.
1. Definition of human behavior
- Human behavior is a product both of innate human nature and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environment.
- Human behavior is seen as the product of factors that cause people to act in predictable ways.
- Human behavior is also defined as the result of attemps to satisfy certain needs 'Flee or Flight'
- Another definition of human behavior focuses on the typical life course, from dependency to self-direction. Therefore, the age of the student impacts how the instructor designs the curriculum.
- By observing human behavior, an instructor can gain the knowledge needed to beter understand the student as an instructor as well as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 인간행동은 인간본성, 개인적인 경험과 환경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들은 보통 선천적이다와 후천적이다 라고 하는 것들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겠죠.
2. 왜 인간행동을 알아야 하는가?
- 이런 인간행동을 알게 됨으로써 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할지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가지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겠죠.
예를 들면 제 학생이 어떻게 하면 더 저의 지식을 잘 흡수하느냐 알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사람에게 맞는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겠지요.
안전적인 측면에서는 학생이 스트레스를 어디서 받는지, 어디까지 견디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스트레스로인한 위험한 비행을 미리 막을 수도 있겠지요.
- 이렇게 이해해도 될지 모르겠으나 저는 이것을 이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후천적 영향으로 생각 했을 때
예전에 누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경험이란 것은 내가 어떤 일을 겪었는지가 아니라
어떤 상황을 겪었을 때 내가 어떻게 대처했느냐 라는 것을 말한다'
라는 말이죠.
도망을 쳤던지 맞서 싸웠던지, 그런 상황에 어떤 시도를 했는지가 중요하겠죠.
- 인간행동의 또다른 정의는 의존에서 부터 자기지향에 이르는 일반적인 생활에 중점을 둡니다.
※ 자기지향: 집합체 지향(collectivity-orientation)과 대조를 이루는 파슨스(T. Parsons)의 패턴변수의 하나로, 자신의 개인적 관심이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행동하는 유형이다. 자기지향 과제에는 열두 가지 구성요소가 포함되는데, 가치감, 통제감, 현실적 신념, 정서적 자각 및 대처, 문제해결 및 창의성, 유머, 영양, 운동, 자기 보살핌, 스트레스 관리, 성 정체감, 문화 정체감이 해당된다.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행동이나 지지를 좋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지지를 항상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자신의 삶에 책임을 느끼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기지향 [self direction, 自己志向]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이렇게 타고난 선천적인 것들 또는
나이를 먹으며 겪게되는 후천적인 요소로써
한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는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사람이 연령을 보고
어떤 방식으로 교육을 할지
커리큘럼을 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간의 행동을 알고
관찰함으로써
Instructor 는 학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그 학생의 학습욕구들을 알 수 있습니다.
3. 가르치는 목적을 알아야 한다
누군가를 가르친다는 것은
분명한 목적이 있다 생각합니다.
그 사람을 알게 만들고 그것을 이용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지요.
"아니 멍청아 그걸 왜 못알아 쳐먹냐 ㅡㅡ"
라고 하는게 아니라
'어떻게 해야 너가 더 잘 알 수 있을까?'
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살아가면서도 이런 실수를 참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인간행동은
-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들로 통하여 하는 사람의 행동이며
- 이런 것들을 이해함으로써 이 사람이 어떻게 할지를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이것은 상대방을 가르치기 위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며
- 그러기위해서는 교관으로써 내 욕심을 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입장이 되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잘하고 계시고
좋은 결과 나올 거에요.
항상 열심히 하시는거 알고 있어요.
'✈ 비행과 공부 > FOI +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I - 공부법) Motivation 동기부여 (29) | 2020.04.28 |
---|---|
(FOI - 공부법) Human needs 인간욕구, 매슬로우의 5단계 인간 욕구 이론 (36) | 2020.04.27 |
(FOI - 공부법) Definition of human behavior - 인간행동의 정의 (18) | 2020.04.26 |
(FOI - 공부법) Fundamentals of instructing (39) | 2020.04.25 |
(공부법) 공부는 집중력으로 하는 것 -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중요한게 아니다 (36) | 2020.04.24 |
(공부법) 눈으로만 공부하지 마시고 모든 것을 이용하세요 (44) | 2020.04.23 |
경험 의 정의를 새롭게 알아갑니다 포스팅 잘 보고갑니다!
답글
좋은 포스팅 잘보고 가요ㅋ
답글
남성심리학은 아동심리라니..
써프라이즈~~!! ㅋㅋ 대박!!
답글
그저 자신의 교육 스타일을 획일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수강자의 특성까지 고려한 교수법이라는 거, 멋있습니다.
남성 심리학이 없다는 걸 오늘 알았네요^^
답글
잘 보고 갑니당~!
답글
남성심리학=아동심리학. ^^ 친구분의 자세가 멋진데요.
답글
새로운 정보 잘 읽고 가요~^^
답글
남성심리학은 없나요? 그냥 심리학인줄 알았네요.
음. 나를 이해하고 정의하는 게 세상 가장 어려운 일이지 않을까 싶네요.
잘보고 갑니다~~
답글
배우는 사람의 입장이 되면 가르치는 게 훨씬 수훨하더군요.
과외를 많이 해본 사람으로서 그건 확실합니다. ㅎㅎ
답글
한주의 시작이네요
좋은 글 잘보고
공감많이 하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답글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좋은하루 보내시고
자주 소통해요~^^
답글
잘 읽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답글
남자는 나이가 들어도 애라는게 저뜻이었네요. ㅎㅎ
남자=아동 ㅋㅋ
답글
잘 보고갑니다 좋은 시간 보내세요
답글
커피한잔 생각나는 오후네요 ~~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답글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되세요 ~~^^♡
답글
좋은 글이네요! 잘 보고 갑니다!
답글
분명히 좋은 선생님이 되실 수 있을 거에요.
벌써 이런 고민을 하신다는 것 자체가요.
그나저나..
그래요... 그래서 남성심리학이 없는 거군요.. ㅋㅋㅋㅋㅋㅋㅋ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