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고싶은게 비행✈ 인 사람입니다.
잠은 잘 주무셨나요?
이번에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비행을 가르칠 때 교관으로써 필요한 기술에 대하여 입니다.
Task F : Techniques of Flight Instruction
Reference : FAA-H-8083-9A
1. Obstacles in learning during flight instruction (8-3)
2. Demonstraion-performance training delivery (8-6)
3. Positive exchange of controls (8-8)
6. Integrated flight instruction (8-10)
7. Assessment of piloting ability (8-11)
8. Aeronatical decision making (8-14)
일단 저는 학습이론과 같은 것들에 대한 전문지식이니 아닙니다.
CFI 교관 과정을 공부하는 중에 있고
이런 것들을 스스로 정리하면서 나중에 복습을 하는데도 도움이 되며
동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라 여겨져 이렇게 글을 쓰고 있습니다.
틀린 점들은 댓글로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이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딱히 재미있어 하는 부분은 아닙니다.
그러나 분명 열심히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사고 예방에 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 Aeronautical Decision Making (ADM)
1) What?
a. ADM
i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ental process used by pilot to consistently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 in response to a given set of circumstance.
Pilot 들이 어떤 상황에 대하여 가장 좋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심적 접근 방법입니다.
b. Risk Management
is a decision-making process desinged to systematically identify hazards, assess the degree of risk, and determine the best course of action associated with each flight.
위험한 상황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방법입니다. 위험 정도에 대해서 판단하고 가장 좋은 행동을 결정합니다.
c. Situational awareness
is the accurat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all the factors and conditions within the four fundamental risk elements (pilot, aircraft, environment, and mission) that affect safety before, during, and after the flight.
비행 전에서 부터 후에까지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Pilot, 비행기, 환경, 임무) 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d. SRM
is the art and science of managing all resources (both onboard the aircraft and from outside sources) available to a single pilot (prior and during flight) to ensure the successful outcome of the flight.
SRM 은 비행하기 전부터 비행까지 성공적인 비행을 할 수 있게 모든 자원들을 이용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2) 어떻게? (DECIDE) (첫 번째 decision making process)
앞에서 했던 HOTS 와 굉장히 비슷합니다.
하나 하나 구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Detect : 상황의 변화를 인지합니다
b. Estimate : Pilot 은 어떤 반응을 해야할지 예상합니다
c. Choose : Pilot 은 어떻게 행동할지 결정합니다.
d. Identify
e. Do : 필요한 것을 합니다
f. Evaluation : 스스로 한 것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평가합니다.
3) 3P model (두 번째 decision making process)
a. Perceive : 위헌항 것들과 상황을 인지합니다
b. Process : 비행의 안전에 위험을 주는 것을 확인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c. Perform : 가장 좋은 행동을 수행합니다
4)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Decision making 에 영향을 주는 것들입니다.
a. The five hazardous attitude
Kinds | Hazardous attitude | Antidote |
Anti authority | Don't tell me what to do | Follow the rules, they are usually right. |
Impulsivity | Do something quickly | Not so fast, think first |
Invulnerability | It won't happen to me | It could happen to me |
Macho | I can do it! | Taking chance is foolish |
Resignation | What the use (I can't do it) | I'm not helpless, I can make difference |
이런 상황이 왔을 때는
먼저 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 인지하는게 우선입니다.
b. Stress management
- Stress 는 불가피하며 살아가면서 반드시 필요한 존재입니다.
- Stress 3가지 종류 : Physiological (hunger), Physical (noise), Psychological (emotional)
- 교관은 반드시 학생의 스트레스 레벨을 확인하고 그것들을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일정 시간 스트레스를 풀 시간을 주는 것과 같이 해서 말이죠.
c. Use of resource
비행중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학생은 비행기 안과 밖에 있는 모든 자원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부자원이라 하면 비행기 내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
Chart, AIM, POH, check list, AFD, GPS, autopilot, Glass cockpit 을 말하며
외부자원이라 하면
ATC 와 Flight service specialists 를 맗바니다.
d. Workload management
계획과 우선순위 매기기, 그리고 업무의 순서를 정하는 것이
workload 를 관리하는데 아주 좋은 도움이 됩니다.
만약 Workload 가 많이 걸리게 되면
학생은 일을 더 빨리 하게 될것이고
집중력은 흐뜨러지게 됩니다. 그리고
나쁜 결정에 빠지게 만들죠.
정리하자면,
1. ADM 은 어떤 상황이 주어졌을 때 가장 좋은 방법으로 갈 수 있는 체계적 방법(심적) 입니다.
2. DECIDE 와 3P model 이 있습니다.
3. Decision making 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Hazardous attitude, Stress, work load 등이 있습니다.
잘하고 계시고
좋은 결과 나올 거에요.
항상 열심히 하시는거 알고 있어요.
'✈ 비행과 공부 > FOI +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I - 공부법) TASK G : Risk management (8) | 2020.07.13 |
---|---|
(FOI - 공부법) TASK F : Techniques of Flight Instruction - 마무리 정리 (3) | 2020.07.12 |
(FOI - 공부법) Assessment of piloting ability (2) | 2020.07.10 |
발표할 때 도움 주는 앱, 투몬 SE (더블모니터, 태블릿을 휴대용 모니터로 사용) (4) | 2020.06.22 |
(FOI - 공부법) Integrated flight instruction (계기와 시계를 함께) (2) | 2020.06.21 |
댓글